초보사업자 세금계산서를 받다. 영수와 청구 & 현금,어음,외상미수금

2023. 1. 11. 11:06Money Study

대금 선지급 후 물건을 받고, 세금계산서도 받았다. 금액은 정확하지만 업체에서 받은 세금계산서에 찍힌 항목들이 서로 다르다. ‘영수’와 ‘청구’, ‘현금’ ’외상미수금’ 항목이 그렇다. 이거 괜찮은 건가. 나와 비슷한 사례와 전문가들의 답변을 찾아보았다. 

출처 : 국세청

1. 영수 vs 청구

* 영수 : 물건을 주었고 돈을 받았다는 뜻 ex)영수증

* 청구 : 물건을 주었지만 돈을 받지 못했다 ex) 청구서

 

나는 대금을 미리 지급하고 돈을 받았으니 ‘영수’에 해당한다.

그러나 한쪽은 ‘영수’라고 찍혀있는 반면 또 다른 세금계산서에는 ‘청구’라고 찍혀있었다. 이거 괜찮은 걸까.

 

✔️결론 : 상관없다. 영수인데 ‘청구’라고 찍혀있지만, 굳이 세금계산서를 수정 발행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. 부가세법에 의하면 영수와 청구 기재사항은 필수가 아니라고. 

[출처 : 사업자를 위한 꿀 법률정보, 네이버블로그]

 

나의 경우는 공급자가 이미 돈을 받고 물건을 나에게 건넨 상황. 이때 나에게 지급한 ‘청구’ 세금계산서를 근거로 돈을 또 달라고 청구할 수는 없다고 한다. 요즘은 계좌이체를 하기 때문에 기록이 명백한 점은 다행이다. 하지만 추후 재발생한다면 사실에 맞게 작성해 달라고 요청할 필요는 있을 것 같다. 

 

ps. 발급하는 사람들도 간혹 영수대신 청구로 발행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. 

 

출처 : 국세청

2. 현금 vs 외상미수금

말 그대로 현금으로 지불함, 외상처리를 함 이런 뜻이라고 한다. 거래처에 송금 후 물품을 가져왔는데 찝찝하지 않을 수 없다. 다행히 이 부분에 있어서도 은행 거래기록이 있어, 판매자가 돈 안 받았다고 억지를 부리지 않는 한 문제 될 것은 없다고 한다. 

[출처 : 네이버 지식인, 김동선세무회계사무소]

 

 

3. 세금계산서 어떤 순서로 보면 좋을까 (중요도)

세금계산서는 말 그대로 세금을 내기 위한 용도. 계산서 안에도 중요도가 존재한다고 한다.  

 

공급받는 자의 등록번호 > 작성일자 > 공급가액 > 세액 > 공급자에 관한 번호 > 영수/청구 여부체크 > 업종/업태 

 

요즘은 거래내역이 다 남아서 다행이지만. 돈에 있어서 애매하거나 찝찝한 부분은 해결해야 하지 않나 싶어 전문가들의 답변과 나와 비슷한 사례들을 이리저리 수집해 보았다.(하단 자료출처 링크참고)

업체는 왜 나에게 외상청구 세금계산서를 발급했을까. 칼같이 계좌이체했는데. 

 

 

 

[자료출처]

세금계산서 서식, 국세청, 2021.10.28 개정본 

세금계산서 영수와 청구의 차이, 세금계산서의 중요도, 사업자를 위한 꿀 법률정보, 네이버블로그, 2022.12.28

거래처에 현금으로 입금하고 물건을 가져왔는데 세금계산서에는 외상으로 표시되어 있어요, 네이버지식인, 2021.07.16. 

직원이 직접 현금납부 후 전자세금계산서를 받았는데 ‘청구'라고 표기되어 있었습니다, 네이버지식인, 2021.08.31.

‘청구'세금계산서 받고 대금지급 후 세금계산서 ‘영수'를 받으면 되나요, 네이버지식인, 2022.11.11. 

돈을 받고 세금계산서 발행하면 ‘영수'로 와야지 왜 ‘청구’로 보내냐고 연락이 왔어요, 네이버지식인, 2021.10.01.

 

반응형